PLPICKS 16

지속가능 플라스틱 시리즈② – PIR(Post-Industrial Recycled), 산업 공정에서 시작되는 순환의 가치

1. PIR이란 무엇인가?PIR(Post-Industrial Recycled)은 산업 생산 공정 중 발생하는 폐플라스틱을 수거하여 다시 원료화한 재생 플라스틱이다. 사출, 압출, 블로우 등 가공 과정에서 생기는 게이트, 러너, 불량품, 여분 소재 등이 주요 대상이며, 아직 소비자에게 전달되기 전 폐기물이기 때문에 오염도가 낮고 물성 편차가 작다는 특징을 가진다.2. 기본 정보 요약표 항목 내용 정식 명칭Post-Industrial Recycled (PIR)한국어 명칭산업 공정 재생 플라스틱주요 수지PP, PE, PS, ABS, PA 등출처제조 공정 중 발생한 스크랩, 게이트, 불량품 등특징낮은 오염도, 품질 균일, 가공 안정성 우수인증 가능성ISCC PLUS, UL 2809 등 일부 재활용 인증 대응 가..

지속가능 플라스틱 시리즈① – PCR(Post-Consumer Recycled), 순환경제를 실현하는 재생 수지

1. 기본정보 요약표먼저 PCR(Post-Consumer Recycled)의 개념을 빠르게 이해하기 위한 기본 정보를 요약해 보겠습니다. 이 용어는 재활용 업계뿐 아니라 패키징, 섬유, 가전, 화장품 등 다양한 산업군에서 점차 중요성이 커지고 있습니다.항목내용정의소비자가 사용한 플라스틱 제품을 수거하여 재활용한 후, 재생 원료로 재사용한 수지풀네임Post-Consumer Recycled관련 용어rPET, rPP, rPE, PCR-ABS, PIR(Post-Industrial Recycled)주요 형태펠릿, 플레이크 형태의 재생 원료적용 분야포장재, 생활용품, 전자기기 외장재, 섬유 등법적 규제EU, 미국 등지에서 의무 사용 비율 도입 (ex. EU Packaging Regulation)2. 주요 특징PCR..

바이오 기반 플라스틱 시리즈② – PHA(Polyhydroxyalkanoates), 자연이 만든 고기능성 플라스틱

PHA(Polyhydroxyalkanoates)는 미생물이 자연에서 생산하는 생분해성 고분자로, 탄소 중립과 해양 플라스틱 문제 해결을 위해 각광받는 차세대 바이오 플라스틱이다. PLA보다도 생분해성과 환경 적합성이 우수하며, 고분자 물성까지 조절 가능한 PHA는 지속가능성과 기능성의 균형을 갖춘 소재로 부상 중이다. 1. 기본 정보 요약항목내용정식 명칭Polyhydroxyalkanoates (PHA)소재군바이오 기반 생분해성 고분자제조 방식미생물 발효 (탄소원: 폐당류, 식물성 오일 등)생분해성해양, 토양, 산업/가정 퇴비 등 전 조건에서 분해주요 형태PHB, PHBV, PHBH 등주요 기업Danimer, RWDC, CJ 바이오, Kaneka 등 2. PLA 대비 주요 특징완전 생분해 가능: PL..

바이오 기반 플라스틱 시리즈① – PLA(Polylactic Acid), 생분해성과 투명성을 갖춘 대표 친환경 수지

PLA(폴리락트산)는 생분해성 바이오플라스틱의 대표 격으로, 옥수수, 사탕수수 등에서 추출한 젖산(Lactic Acid)을 중합하여 제조한 열가소성 폴리에스터이다. 친환경성과 투명성, 우수한 인쇄성 덕분에 포장재를 비롯한 다양한 분야에서 기존 석유계 플라스틱을 대체하고 있다. 1. PLA의 기본 구조와 특성PLA는 젖산 분자(L-lactic acid, D-lactic acid)를 중합하여 만든 선형 폴리에스터로, 구조적으로는 단일 하드세그먼트로 구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결정화도(Crystallinity)에 따라 물성 차이가 크며, 높은 결정성을 갖는 PLA는 내열성과 강성이 우수한 편이다.항목내용정식 명칭Polylactic Acid소재군바이오 기반 열가소성 폴리에스터주요 특징생분해성, 생체적합성, 높..

지속가능한 PET병 설계, 브랜드가 지켜야 할 7가지 기준

지속가능한 PET병 설계, 무엇이 중요한가?친환경 패키징이 산업 전반의 핵심 과제로 떠오르면서, 브랜드들이 PET병을 보다 지속가능하게 설계하려는 노력이 이어지고 있다. 플라스틱 재활용 전문가 에드워드 코시어(Edward Kosior)는 PET병이 진정으로 순환경제에 기여하려면 단순히 rPET 사용에 그치지 않고, 병, 뚜껑, 라벨 설계 전반에서 재활용을 고려해야 한다고 강조한다.이번 포스트에서는 플라스틱 재활용 분야의 세계적 전문가 에드워드 코시어의 조언을 바탕으로, 지속가능한 PET병 설계의 7가지 핵심 기준을 정리해봅니다. 1. 병 본체 – 무색이 기본병은 투명하거나 매우 연한 파란색이 이상적이다. 이는 재활용 과정에서 품질 저하를 최소화하고 병-투-병 수율을 높인다. 일본의 경우, 유색 PET병을..

기능성 소재 분석 시리즈① – TPU(Thermoplastic Polyurethane), 구조에서 응용까지 고기능성 소재의 모든 것

“유연성과 내구성의 황금비율, 기능성 시장의 핵심 재료” 1. TPU란 무엇인가 – 구조와 특성 기반 소재 이해TPU(Thermoplastic Polyurethane)는 열가소성 엘라스토머(TPE) 계열에 속하는 고기능성 플라스틱으로, 하드 세그먼트와 소프트 세그먼트로 이루어진 블록 공중합체 구조를 갖고 있다. 이 독특한 구조는 고무처럼 유연하면서도 플라스틱처럼 강한 기계적 특성을 동시에 구현할 수 있게 해주며, 내환경성, 가공 유연성, 복원력 등의 특성을 뛰어나게 발현한다.TPU는 일반적으로 폴리올(Polyol)과 디이소시아네이트(Diisocyanate), 그리고 체인 익스텐더(Chain extender)를 조합하여 합성하며, 그 배합과 구조 조정에 따라 경도와 물성이 자유롭게 조절되는 특징이 있습니다..

인쇄 소재의 혁신, Sun Chemical의 지속가능 전략

지속 가능성과 순환 경제를 향한 유럽 포장 산업의 흐름에 따라, 인쇄용 소재와 기술도 빠르게 진화하고 있다. Sun Chemical은 이러한 흐름 속에서 잉크, 접착제, 코팅 기술의 혁신을 통해 시장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응하고 있다. 규제 강화 속 인쇄 소재의 방향 전환유럽 시장은 지속 가능성, 자원 순환을 중심으로 한 규제가 강화되고 있으며, 동시에 식품·소비재 포장 등에서 안전성과 기능성도 필수 요소로 요구된다. Sun Chemical은 이러한 이중 과제에 대응하기 위해 기존 잉크 시스템의 재구성을 시도하고 있다. 니트로셀룰로오스 없는 용제 기반 잉크 출시최근 Sun Chemical은 니트로셀룰로오스를 전혀 포함하지 않는 용제형 잉크를 선보였다. 이는 그라비어 및 플렉소 인쇄에 모두 적합하며, 외부 ..

뜨거우면 곤란해진다? 열변색이 바꾸는 플라스틱 색상 품질관리

뜨거운 것을 반기지 않는 이들도 있다: 플라스틱 제조에서 열변색 문제 극복하기열변색, 플라스틱 색상 품질관리의 숨은 복병열변색(thermochromism)은 온도 변화에 따라 색상이 일시적으로 변하는 현상으로, 기분 반지나 열감지 머그컵처럼 소비자 제품에선 재미있는 효과지만, 플라스틱 제조현장에서는 골칫거리입니다. 특히 색상 기준이 엄격한 제품에서는 작은 온도차로도 측정값 오류, 품질 저하, 고객 클레임으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전통적 대응 방식의 한계지금까지 플라스틱 QC 현장에서는 열변색 문제를 피하기 위해 샘플을 측정 전 충분히 냉각해왔습니다. 성형 시간 연장, 냉각수 욕조, 자연 냉각 등이 그 방법이지만, 이런 방식은 QC 공정을 지연시키고, 대량 생산 환경에서는 일관성 있게 적용하기도 어렵..

핵심 원료 시리즈② – LDPE(저밀도 폴리에틸렌), 유연성과 밀봉성의 필름 전략소재

얇고 유연하지만 산업 현장에서는 결코 얕볼 수 없는 소재1. 산업적 위치: 필름 패키징의 기본값LDPE는 20세기 중반부터 포장재 시장에서 핵심 소재로 자리 잡아왔다.고속 가공성이 뛰어나고 밀봉성이 우수해 랩 필름, 식품 포장, 종이컵 코팅 등 일상적이면서도 정밀성이 요구되는 응용에 널리 사용된다.최근에는 LLDPE나 mPE 등의 경쟁 소재들이 부상했지만, LDPE만의 성형 안전성과 평탄도는 여전히 대체 불가능한 특장점으로 작용하고 있다. 2. 물성 요약 및 실무 기준밀도: 0.91 - 0.94 g/cm³MFI: 0.3 ~ 30 g/10min (제품군 다양)Vicat softening point: 약 85℃기계적 특성: 인장강도 낮고 연신율 높음 (> 500%)전기 절연성: 우수가공성: 블로운필름, 압출..

미세플라스틱, 필터 없이 잡는다 - Wasser 3.0의 하수처리 혁신 기술 'PE-X®'

하수처리장과 산업 현장에 적용 가능한 실리카 기반 친환경 공정 ❚ 플라스틱의 그림자, 미세플라스틱플라스틱은 편리한 소재지만, 사용 후 분해되면 미세플라스틱으로 환경에 잔존한다. 식수나 음식 등을 통해 인체로도 유입될 수 있는 이 문제는 기존 하수처리 시스템으로 완전히 해결되지 않는다. 독일의 비영리 기술기업 Wasser 3.0은 이를 해결하기 위한 독자적인 기술을 개발해 실증하고 있다. ❚ ‘4단계 정화 플러스’와 PE-X® 기술Wasser 3.0 은 하수처리장에 적용 가능한 PE-X® 공정을 통해 미세플라스틱과 미세오염물질(의약품, 농약 등)을 동시에 제거한다. 독일 란다우-뫼를하임 시립 하수처리장에서 진행한 12개월 간의 장기 프로젝트 4단계 정화 플러스를 통해, 미세플라스틱 95% 이상, 미세오염물..